코로나 대폭락 이후,
오히려 더욱 뜨거워져 역대급 상승장이 계속 되고 있는 요즘 주식시장.
그 가운데 이전과 달리 가장 돋보이는 변화는 다름 아닌 개인의 수급.
개인투자자들이 주식투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개인이 또 다른 수급으로 등장하고 있다.
예전보다는 스마트해진 개인투자자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는 것이 해외주식인데,
특히 미국주식.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세계적인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는 미국주식시장에 개인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그 어느나라보다도 안정적인 시장인데다가 장기투자 시 높은 수익률을 가져다주는 미국 주식시장에 많은 개인투자자들이 투자를 하고 있다.
금융편의 이전 포스팅에 이어,
2020/08/26 - [실생활/금융] - [실생활 속 수학] 3. 주가 상승과 하락의 퍼센트 비대칭성
[실생활 속 수학] 3. 주가 상승과 하락의 퍼센트 비대칭성
이번 포스팅은 저번 시간에 얘기했던 72의 법칙에 이어서 주가 상승과 하락의 퍼센트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이미 경험적으로나 수적인 감각으로나 알고 있는 분들도 많겠지만, 저번처
meceng5004.tistory.com
오늘은 해외주식투자에서 마냥 가볍게만 넘겨서는 안 될 '환율'에 대해서 짚어보려 한다.
특히 용어의 개념을 다루기보다는 누구나 가장 관심 있어할 수익률에 관련된 내용을 다룰 것이다.
최근에 환율이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다. 코로나로 인한 대폭락 때 1200원을 상회하던 환율이 이제는 1100원도 되지 않는다.
샘플로 지인이 보내준 계좌의 수익률을 살펴보았다.
최근에 지속해서 환율이 떨어지니 외화로는 많은 수익률을 기록해도 실제 원화로는 수익률이 급감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번 예시를 들어보겠다.
내가 해외주식을 매수한 시점의 환율이 1달러당 1000원이었고 현재 환율이 1100원으로 올랐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환율 상으로는 10% 상승한 것이다.
주가가 매수시점에 100달러였고 현재 140달러가 되었다고 해보자.
(수수료나 세금을 모두 제외하고 생각해보면)
차익으로 40%의 수익률을 얻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를 원화로 계산해보면?
매수 시점에는 100달러 * 1000원/달러 = 100만원,
매도 시점에는 140달러 * 1100원/달러 = 154만원,
오호.
수익률은 54%였다.
환율은 10% 오른 것이지만, 실제수익률에 기여하는 정도는 조금 더 크게 14%가 상승한 것이다.
작은 비율이겠지만 어떻게 보면 레버리지의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대로 매도 시점에 주가가 60달러라면
매도 시점에는 60달러 * 1100원/달러 = 66만원,
-40%가 -34%로 줄어든다.
이때는 환율 10% 상승이 6%의 기여를 하게 된다.
이처럼 환율이 상승세일 때 혹은 원/달러가 싸졌을 때 해외 주식투자를 하면 손실률은 줄여주고 이익은 부풀릴 수 있게 된다.
반대의 경우도 살펴보자.
환율이 1000원에서 900원으로 10% 하락한 경우를 가정해보자.
주가가 매수시점에 100달러에서 현재 140달러로 40% 수익 중이라고 해보면,
매수시점에는 100달러 * 1000원/달러 = 100만원,
매도시점에는 140달러 * 900원/달러 = 126만원이다.
수익률이 40%에서 26%로 급감한다. 환율이 10%변해도 실제 수익률에는 14%의 영향을 주게된다.
혹시 수학을 잘하는 독자라면, 다음의 내용도 참고하길 바란다.
원화 수익률(Z), 환율 변화율(X), 외화수익률(Y)이며 모든 단위는 %이다.
위의 예시에서 X=10, Y=40이고 Z = 10 + 40 + 10 * 40/100 = 54로 바로 원화 수익률을 구할 수 있다!
요즘처럼 환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시기에 해외투자를 할 경우, 주가는 올라도 내 수익률은 크게 떨어지는 현상을 겪을 것이다.
지금까지 환율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간단히 다루어보았다.
이 내용이 여러분의 투자에 유익한 내용이 되었으면 한다.
'실생활 속 수학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생활 속 수학] 액셀로 로그차트 만들기 (2) | 2020.12.27 |
---|---|
[실생활 속 수학] 로그함수의 응용(2)(로그차트의 기울기, 상승률과 하락률) (2) | 2020.12.23 |
[실생활 속 수학] 로그와 로그함수(1)(로그차트의 이해) (2) | 2020.12.22 |
[실생활 속 수학] 3. 주가 상승과 하락의 퍼센트 비대칭성 (0) | 2020.08.26 |
[실생활 속 수학]1. 72의 법칙의 비밀, 간단한 복리 계산법 (2) | 2020.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