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 용어

[주식 용어 한번에 알기] 3. 동시호가 거래방식과 거래팁

by meceng 2021. 9. 8.
반응형


주식 매수 주문을 넣었는데,
엥 왜 주문이 체결이 안되지..
왜 호가가 3개씩 밖에 안 보이지..

이런 경우가 있었을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이에 대해 다뤄볼 것이다.




동시호가가 아닌 시간에 거래를 하면 굳이 동시호가를 몰라도 상관없겠지만,
주식 거래를 하다보면 꼭 만나게 되는 순간이 올 것이다.


국내주식 거래시간

국내주식 거래시간에서 동시호가가 있는 시간은
장 시작전 08:30 ~ 09:00
장 마감때 15:20 ~ 15:30
시간외 단일가 16:00 ~ 18:00
이 있다.

이외에도, 장 중에 급격한 주가 움직임으로 인해 상승 또는 하락 vi에 걸릴 경우 몇분간 동시호가 거래 방식을 취하게 된다.

(시가에 갭이 생기는 이유도 장전 동시호가 때문이다.)

동시호가는 주식시장 안정화를 위해서 만들어졌는데,
특히 이슈나 뉴스, 공시로 인해 주가에 과한 움직임이 예상되는 경우에 주가의 왜곡을 줄여주기 위해서 생겨났다.

동시호가는 10분이면 10분 특정한 기간동안 접수된 모든 매수/매도 물량을 같은 시간에 낸 거래로 보고 일괄 처리한다.

예를 들어 장 마감전 15:20 ~ 15:30에 동시호가 거래가 되는데,
15:20에 낸 주문이나 15:25에 낸 주문이나 15:30에 낸 주문으로 체결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간에 따른 과도한 매도와 매수로 인한 주가 왜곡을 줄일 수 있다.



<동시호가에 참여하는 방법>


장 마감 때 동시호가를 예로 들어보겠다.

삼성전자 종가 동시호가

15시 20분에 76,200원으로 끝이 난 다음
동시호가 상황이 된 모습이다.

위 그림처럼 15시 21분과 같은 동시호가 시간 초반에는
주문량이 채워지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가격이 왜곡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끝날 때까지 끝난게 아니다.

15시 30분까지. 그동안의 가격은 아무런 효과도 없다.

그래도 만약 저런 상황에 머무르고 있다면
동시호가 매매는 어떻게 하는 것일까.


동시호가

기본적으로 매수하고 싶다면 76,900원에 매수주문을 해야하고,
매도하고 싶다면 76,800원에 매도주문을 해야한다.

이때 왼쪽에 예상 체결가가 76,900원이라고 되어있다.
그럼 매도주문을 넣을때 76,900원으로 해도 될까?

안된다.

동시호가는 매수주문과 매도주문을 통합하여
한번에 주문을 내기 때문에
76,900원의 매도 주문은 매수주문과 거래가 되지않고
대기자가 되어 거래에 참여할 수 없게 된다.

저 상황에서 76,800원에 매도주문을 넣었어도
매도주문량이 매수주문량보다 많게 되면
가격이 밀려 내려가게 된다
.

그때는 역시나 가격이 체결될 수 있도록 가격을 조정하여
주문을 내어야만 거래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최종적으로 15시 30분에 거래가 완료되면
딱 하나의 가격에 모든 거래가 성립된다.
이때 76,800원에 매도주문을 걸어도
위와 같은 상황으로 종료되면
최종적으로는 76,900원에 체결된다.




<팁>
동시호가 거래는 결국에 마감시간에 결정되는 것이기에
마감시간 1,2분 전에
매도자라면 매수호가 중 가장 높은 가격에,
매수자라면 매도호가 중 가장 낮은 가격에
주문을 걸면 된다
.

일찍 거래할 필요없이 마감 전에 거래하면 된다.

지금까지 동시호가 거래에 대해 알아보았다.

반응형

댓글